- 홈 -> 산야초[야생화 계절여행] 작고 우아한 향기를 가진 은방울꽃고정혁기자2009년 06월 25일 12:57 분입력 총 880555명 방문
-
은방울꽃
김명춘바람 같은 세월 속에
꾸미지 않은 순수한 심성
순하디 순한 거울같이 맑은 영혼
가슴 한 자락에 별이 뜨는 꽃
푸르디 푸른 청정한 기개
정의로운 따뜻한 몸짓
참사랑의 열정
세상 어두움을 밝히는 전설의 꽃
밤마다 별을 따서 세상에 뿌리는 꽃
꺼지지 않는 사랑의 등불
가슴에서 빛나는 세상을 사랑하는 꽃은방울꽃 소개
분류 |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4~5월 서식장소 | 한국, 중국, 동시베리아, 일본 등 산지의 초원
높이 | 25~35㎝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길이 6∼8㎜이고 종 모양이다. 꽃줄기는 잎이 나온 바로 밑에서 나오며, 길이 5∼10㎝의 총상꽃차례에 10송이 정도가 아래를 향하여 핀다. 포는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넓은 줄 모양이며, 작은꽃자루의 길이와 비슷하거나 짧다. 화피는 6장이고 수술은 6개로 서화관 밑에 달린다. 씨방은 달걀 모양이며 3실이고 암술대는 짧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7월에 붉게 익는다. 번식은 포기나누기로 한다.
은방울꽃은 반음지에서 잘 자라며 해발이 낮은 곳보다는 높은 곳에서 잘 자란다. 생명력이 대단히 강하고 번식력도 강하다. 줄기에 털이 없고 땅 속 줄기가 뻗으며 군데군데 지상으로 새순이 나온다. 꽃은 흰색으로 피고, 긴 꽃줄기에 10송이 정도가 종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린다.
꽃이 작은 방울 모양으로 생겼다고 해서 은방울꽃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또 향기가 은은하여 고급 향수를 만드는 재료로 쓰이기도 하여 향수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뿌리가 옆으로 퍼지기 때문에 산 속에 무리로 모여 살지만 잎 뒤에 숨어서 피고 꽃이 워낙 작아서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숲 속을 지날 때 향이 은은하게 나면 필히 은방울꽃을 볼 수 있다. 요즘은 야생화를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져 함부로 채취를 하여 많이 줄어드는 품종 중 하나이다.
사진과 글 | 김경희
야생화 전시회, 한산신문 야생화 기고.
꽃이, 산이 너무 좋아 야생화를 찍습니다. 남편은 다발성암으로 투병 중입니다.뒤로월간암 2009년 2월호
- 암을 치료하는 현대적인 방법 5가지
과거에 비해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많아졌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수술이나 항암치료 그리고 방사선치료가 전부라고 생각되던 시절이 있었지만, 의학이 발전하면서 치료 방법 또한 다양해졌습니다. 최근 우리나라도 중입자 치료기가 들어오면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하나 더 추가되었습니다. 중입자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일본이나 독일 등 중입자 치료기가 있는 나라에 가서 힘들게 치료받았지만 얼마 전 국내 도입 후 전립선암 환자를 시작으로 중입자 치료기가 가동되었습니다. 치료 범위가 한정되어 모든 암 환자가 중입자 치료를 받을 수는 없지만 치료...
- 깨끗한 혈액 만들기 위해 생각할 것, 6가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음식을 먹는다 현대인의 생활을 고려해 볼 때 육체노동자가 아니라면 세끼를 모두 챙겨 먹는 자체가 과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인류가 살아온 300만 년 중 299만 9950년이 공복과 기아의 역사였는데 현대 들어서 아침, 점심, 저녁을 습관적으로 음식을 섭취한다. 게다가 밤늦은 시간까지 음식을 먹거나, 아침에 식욕이 없는데도 ‘아침을 먹어야 하루가 활기차다’라는 이야기에 사로잡혀 억지로 먹는 경우가 많다. 식욕이 없다는 느낌은 본능이 보내는 신호다. 즉 먹어도 소화할 힘이 없다거나 더 이상 먹으면 혈액 안에 잉여물...
- [에세이] 사유(思惟)를 만나다
글: 김철우(수필가) 가벼운 옷을 골랐다. 늘 들고 다니던 가방을 놓고, 가장 편한 신발을 신었다. 지난밤의 떨림과는 무색하게 준비는 간단했다. 현관문을 나서려니 다시 가벼운 긴장감이 몰려왔다. 얼마나 보고 싶었던 전시였던가. 연극 무대의 첫 막이 열리기 전. 그 특유의 무대 냄새를 맡았을 때의 긴장감 같은 것이었다. 두 금동 미륵 반가사유상을 만나러 가는 길은 그렇게 시작됐다. 두 반가사유상을 알게 된 것은 몇 해 전이었다. 잡지의 발행인으로 독자에게 선보일 좋은 콘텐츠를 고민하던 중 우리 문화재를 하나씩 소개하고자...
- 나를 위로하는 방법, 한 가지
우리 주위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하루를 열심히 살아갑니다. 그러나 범죄를 저질러 교도소에서 지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밝혀지지 않았을 뿐 죄를 저지른 채 살아가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서는 전체 인구의 3% 정도가 범죄를 저지르며 교도소를 간다고 합니다. 즉 100명 중에 3명 정도가 나쁜 짓을 계속하면서 97명에게 크게 작게 피해를 입힌다는 것입니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시냇물을 흐린다는 옛말이 그저 허투루 생기지는 않은 듯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열심히 살아갑니다. 그렇다고 97%의 사람들이 모두 착한...

- 월간암 - 정기구독신청
1년 5만원 정기구독료를 납부하시면 매월 집에서 편하게 월간암을 접할 수 있습니다. - 고려인삼공사 - 문의전화: 02-862-3992
시베리아 자작나무에서 채취 관리, 러시아 정부가 인증한 고려인삼공사 최상급 차가버섯 추출분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