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에세이[에세이] 귀래관(貴來館)에서고동탄(bourree@kakao.com)기자2024년 07월 22일 09:57 분입력 총 630명 방문
-
글: 김철우(수필가)
방문을 열자 흙냄새가 태풍처럼 밀려 들어왔다. 간밤에 비바람이 얼마나 대지를 뒤흔들어 놓았는지 짐작이 갔다. 보습의 신이 세상의 땅을 모조리 갈아엎어 놓은 것은 아닐까. 폭격을 맞은 듯 잎을 떨군 문 앞의 나무들도 지친 기색이 역력했다. 도시에서 태어나 콘크리트 숲에서만 살아 온 삶에게 코를 파고드는 흙냄새는 충격이었다. 신선하면서도 생명력이 느껴지는 냄새란 이런 것인지…….
‘본질적인 땅이라는 뜻으로 해석되는 원주(原州), 이름 그 자체를 나는 사랑했는지 모른다.’라던 박경리 선생님의 글이 떠오르자, 비로소 내가 원주에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토지문화관 창작실인 귀래관에 입주한 지 며칠째, 커튼을 두른 방에 스스로를 가두고 식사 시간에만 본관에 들르는 일상이 계속되고 있다. 귀래관에서 본관까지는 작은 숲을 지나야 한다. 박경리 선생님이 직접 조성하셨다는 뽕나무 숲길이다. 숲이라고 해봐야 100여 미터쯤 될까. 늦은 시간에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 야생동물이 나온다며 토지문화관에서 주의를 준 장소이기도 하다. 오랜 기간 쌓인 낙엽과 이끼 등이 많아 비가 오면 진창이 되기 마련인데 다행인 건 일정한 간격으로 침목(枕木)이 깔려있다. 침목 간의 간격이 내게는 좁은 듯하지만, 그렇다고 하나를 건너뛰면 너무 멀어져 불편해진다. 그저 하나씩 천천히 걷기를 반복하는 수밖에 없다. 그렇게 두 건물 사이를 오가는 길은 침목을 밟기 위해 고개를 숙이고 시선을 떨어뜨려야 한다. 그러자 지금껏 보지 못했던 다른 세계가 눈앞에 펼쳐졌다. 침목 주변의 다른 존재들이 보이게 된 것이다. 가장 많이 눈에 띄는 것은 개미. 뭐가 바쁜지 크고 작은 녀석들 할 것 없이 정신없이 움직인다. 게다가 빠르다 보니 내가 다리를 들어 옮기려는 곳에도 느닷없이 나타나 놀라게 한다.
이름도 알 수 없는 벌레는 또 얼마나 많은지. 땅을 기는 녀석들은 그나마 참을 수 있으나 앵앵거리며 얼굴 주위를 날고 있는 녀석들은 정말 귀찮은 존재들이다. 그러나 그런 녀석들만 눈에 띄는 건 아니다. 침목 주변의 푸른 이끼와 침목에 난 구멍 사이로 살포시 잎을 내민 존재들에게는 발길을 잡히기 일쑤였다. 가만히 앉아 카메라 초점을 맞추거나 바람에 간신히 흔들리는 잎사귀를 보는 것만으로도 저절로 미소가 피어난다. 그런 존재들을 피해서 걸음을 내딛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사실 며칠 전 아침에 걱정하던 일이 벌어졌다. 녀석들을 밟지 않기 위해 옮기던 다리를 급하게 다른 곳에 딛다 보니 중심을 잃고 넘어질 뻔했다. 다음 침목을 급히 밟지 않았다면 이슬 내린 숲길에서 낭패가 아니던가. 옷이 젖는 게 문제가 아니다. 부러진 가지에 찔리거나 손목이라도 삐끗했다면 어땠을까.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정신을 차리고 보니 침목이 가까이 있었기에 망정이지 그렇지 않았다면 우려했던 일이 벌어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침목의 간격을 결정했던 일손이 고마워지는 순간이다.
침목을 오르다 보면 약간 휘어진 것 같으면서 어느 순간부터는 직선의 길이 된다. 아침 시간에 걷다 보면 묘한 성취감마저 느껴져 기분이 좋아지곤 했는데, ‘목표를 향해 천천히 그러나 쉬지 않고 정진하라’는 선생님의 의도가 느껴지는 것은 나만의 착각일까.
어느 날 침목의 숫자를 세어 보니 137개. 대학 시절 학생회관이 있던 광장에서 인문관으로 오르던 137계단의 숫자와 정확히 일치했다. 꺼져가는 문학에의 열정만 남은 지금, 학문을 향한 열정으로 가득했던 그때의 숫자를 이곳에서 만난다. 방과 후나 강의가 비던 시간에 늘 걷던, 내 사색의 도화지였던 길의 시작점이 바로 137계단이었다. 굽이쳐 돌며 세상을 바라보던 게 그때였다면, 지금은 고개 숙인 채 오롯이 내 안으로 침잠하는 장소가 바로 이곳이 되었다.
문화관 주변을 돌며 본관 사진이 가장 잘 나올 수 있는 곳을 찾았더니 귀래관 아래에 조성된 작은 연못 주변이었다. 물가와 백운산 중턱에 앉은 건물 그리고 하얀 구름이 만들어 내는 조화가 그만이다. 물가가 있으면 다양한 생물들이 모여들기 마련이지만, 확실히 뽕나무 숲과는 다른 생명체들이 눈에 띈다. 잎을 펼친 연을 비롯해 수중식물들이 가족처럼 옹기종기 모여 있으며, 자귀나무 한 그루가 마치 현판처럼, 수호신처럼 연못을 지킨다. 한눈에 봐도 손길이 많이 간 흔적이 엿보이는 연못은 주변으로 호위무사처럼 강아지풀이 지천이다. 돌담이 있으나 다시 그 위로 기와를 쌓아 경계를 뚜렷하게 했다. 누군가 혹여 발을 헛디뎌 넘어질까 저어하셨는지 직접 기와를 쌓으셨다고 한다. 기와뿐이겠는가. 침목의 간격을 결정했던 일손 역시 선생님의 손길이었고, 밭에 쭈그리고 앉아 후배 문인들을 위해 채소를 가꾸시기도 했음은 물론이다. 그 밭에서 재배한 채소는 그때나 지금이나 문인들 식탁 위에 오르고 있으니 아직도 선생님의 유지가 그대로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마지막까지 머무시던 건물 맞은편으로 소나무 숲 가운데 무덤 두 기가 눈에 띈다. 무덤의 주인은 시인 김지하, 토지문화재단 이사장 김영주. 사위와 딸의 무덤이다. 그리고 정작 본인은 고향인 통영 땅에 묻혔으니, 이곳에서 선생님을 그리워하는 후배 문인에게는 못내 아쉬움이 크다.
본관 앞 비비추가 꽃을 활짝 피우고 있는 아침. 오늘도 뽕나무 숲길 가운데 서서 주위를 둘러본다. 귀를 가득 채우는 새들의 지저귐. 언제부터 나왔는지 이미 바쁜 개미들. 발에 밟혀 납작해진 뽕나무 열매, 조용히 바닥을 지키는 푸른 이끼들. 먹이활동에 나선 이름 모를 벌레들. 선생님의 자취가 배지 않은 곳이 없으며, 선생님의 흔적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는 이곳. 내가 얼마나 오랫동안 이곳을 사랑하게 될지 지금은 짐작도 하지 못하겠다. (토지문화관에서 창작한 작품임)뒤로월간암 2024년 6월호
-
암을 치료하는 현대적인 방법 5가지
과거에 비해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많아졌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수술이나 항암치료 그리고 방사선치료가 전부라고 생각되던 시절이 있었지만, 의학이 발전하면서 치료 방법 또한 다양해졌습니다. 최근 우리나라도 중입자 치료기가 들어오면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하나 더 추가되었습니다. 중입자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일본이나 독일 등 중입자 치료기가 있는 나라에 가서 힘들게 치료받았지만 얼마 전 국내 도입 후 전립선암 환자를 시작으로 중입자 치료기가 가동되었습니다. 치료 범위가 한정되어 모든 암 환자가 중입자 치료를 받을 수는 없지만 치료...
-
깨끗한 혈액 만들기 위해 생각할 것, 6가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음식을 먹는다 현대인의 생활을 고려해 볼 때 육체노동자가 아니라면 세끼를 모두 챙겨 먹는 자체가 과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인류가 살아온 300만 년 중 299만 9950년이 공복과 기아의 역사였는데 현대 들어서 아침, 점심, 저녁을 습관적으로 음식을 섭취한다. 게다가 밤늦은 시간까지 음식을 먹거나, 아침에 식욕이 없는데도 ‘아침을 먹어야 하루가 활기차다’라는 이야기에 사로잡혀 억지로 먹는 경우가 많다. 식욕이 없다는 느낌은 본능이 보내는 신호다. 즉 먹어도 소화할 힘이 없다거나 더 이상 먹으면 혈액 안에 잉여물...
-
[에세이] 사유(思惟)를 만나다
글: 김철우(수필가) 가벼운 옷을 골랐다. 늘 들고 다니던 가방을 놓고, 가장 편한 신발을 신었다. 지난밤의 떨림과는 무색하게 준비는 간단했다. 현관문을 나서려니 다시 가벼운 긴장감이 몰려왔다. 얼마나 보고 싶었던 전시였던가. 연극 무대의 첫 막이 열리기 전. 그 특유의 무대 냄새를 맡았을 때의 긴장감 같은 것이었다. 두 금동 미륵 반가사유상을 만나러 가는 길은 그렇게 시작됐다. 두 반가사유상을 알게 된 것은 몇 해 전이었다. 잡지의 발행인으로 독자에게 선보일 좋은 콘텐츠를 고민하던 중 우리 문화재를 하나씩 소개하고자...
-
나를 위로하는 방법, 한 가지
우리 주위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하루를 열심히 살아갑니다. 그러나 범죄를 저질러 교도소에서 지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밝혀지지 않았을 뿐 죄를 저지른 채 살아가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서는 전체 인구의 3% 정도가 범죄를 저지르며 교도소를 간다고 합니다. 즉 100명 중에 3명 정도가 나쁜 짓을 계속하면서 97명에게 크게 작게 피해를 입힌다는 것입니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시냇물을 흐린다는 옛말이 그저 허투루 생기지는 않은 듯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열심히 살아갑니다. 그렇다고 97%의 사람들이 모두 착한...
- 월간암 - 정기구독신청
1년 5만원 정기구독료를 납부하시면 매월 집에서 편하게 월간암을 접할 수 있습니다. - 고려인삼공사 - 문의전화: 02-862-3992
시베리아 자작나무에서 채취 관리, 러시아 정부가 인증한 고려인삼공사 최상급 차가버섯 추출분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