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
-> 현대의학
유방암 재발 방지에는 타목시펜보다 페마라
고정혁기자2011년 11월 29일 15:00 분입력   총 871643명 방문
AD

유방암 재발 생존율에 타목시펜보다 페마라가 더 효과 있어

유방암 치료제인 페마라(레트로졸)가 유방암 재발을 방지하고 호르몬에 민감한 유방암 노인 여성 환자들의 수명을 개선하는 데 타목시펜보다 더 효과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약 8,000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타목시펜과 페마라의 개별적인 효과와 이 2가지를 연속적으로 사용했을 때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인데 그 최신 자료가 공개된 것이다. 이 연구에서 페마라가 유방암 재발과 생존율에 있어서 타목시펜보다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게다가 타목시펜을 투여한 후 연달아 페마라를 투여하는 것보다 페마라만 투여하는 것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연구는 페마라를 제조하는 노바티스 제약회사의 재정적인 지원을 일부 받아서 실시되고 있다.

에스트로겐은 호르몬에 민감한 유방암을 촉진하고 따라서 에스트로겐을 차단하는 것이 재발을 막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페마라는 아로마타제 억제제란 유방암 치료제의 일종이다. 아로마타제 억제제는 아로마타제란 효소를 통해 인체가 에스트로겐을 생산하는 것을 억제하는 약품이다. 타목시펜은 선택적인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 약품으로 특정한 조직 즉 유방에서만 에스트로겐같이 행동한다. 아로마타제 억제제는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혹은 타목시펜과 함께 투여된다.

8년 추적 연구, 페마라 복용시 재발 위험 20% 감소 사망률 21% 낮아
미국과 유럽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공동연구진은 평균해서 8년 동안 추적해본 결과 유방암 치료 후 5년 동안 페마라를 복용한 여성들이 타목시펜만 복용한 여성들에 비해 유방암 재발 위험이 20% 줄어들었고 사망 가능성은 21% 더 낮은 것을 발견했다. 타목시펜을 복용한 후 연속해서 페마라를 복용하거나 흑은 페마라를 복용한 후 연속해서 타목시펜을 복용한 치료방법은 페마라 1가지만 복용한 치료방법에 비해 재발 가능성이나 사망 가능성을 별로 줄여주지 못했다.

뉴욕시의 레녹스 힐 병원 외과 종양학 과장인 스테파니 버닉 박사는 페마라가 최선의 방법이고, 타목시펜과 페마라를 병용하는 것이 생존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희망했지만 그냥 희망으로 끝났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타목시펜으로 치료받고 있는 유방암 생존자들은 담당의사와 선택 가능한 치료방법에 대해 상의해야 하고 페마라로 바꾸는 문제를 상의해야 할 것이라고 그녀는 조언하고 있다. 타목시펜이 여전히 탁월한 약품이지만 아로마타제 억제제가 더 낫고, 만약 약품을 바꾸려고 한다면 담당의사에게 아로마타제 억제제로 바꾸길 원한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부언하고 있다.

아로마타제 억제제도 부작용이 있다. 페마라의 경우 심각한 부작용은 골절과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 등이다. 심장마비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일부 있다. 타목시펜의 부작용은 혈전, 뇌졸중, 자궁암, 백내장 등이다. 아로마타제 억제제를 복용하는 여성들 중에는 관절통과 여타 성가신 부작용을 겪어서 다시 타목시펜을 복용하는 경우도 있다.

페마라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비용도 문제가 된다. 그러나 페마라와 타목시펜의 가격차가 줄어들고 있고 이제는 페마라의 복제 의약품도 팔리고 있어서 페마라를 이용하는 비용이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가격은 타목시펜이 더 저렴하다.

아직 임상시험 중이기 때문에 최종 결과가 나온 것은 아니고, 또 페마라를 제조하는 업체가 연구비를 일부 지원하고 있고, 페마라 역시 부작용도 있기 때문에 타목시펜을 복용하는 환자들은 페마라의 효과에 대해 신중한 판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출처: M. M Regan et al., "Assessment of letrozole and tamoxifen alone and in sequence for postmenopausal women with steroid hormone receptor-positive breast cancer: the BIG 1-98 randomised clinical trial at 8·1 years median follow-up" The Lancet Oncol. 12(12):1101-1108,

뒤로월간암 2011년 12월호
추천 컨텐츠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