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상식
-> 의학상식
혈중 비타민 D 수치 면역체계에 중요
고정혁기자2013년 05월 31일 18:12 분입력   총 597139명 방문
AD

혈중 비타민 D 상태 개선하면 많은 질병 위험 낮춘다
보스턴대학교 의대 연구진은 혈중 비타민 D 수치를 높여 비타민 D 상태를 개선하면 비 골격계 건강에 많은 이점이 있는 것을 밝혔다. 즉 건강한 성인의 비타민 D 상태 개선이 암, 심혈관 질환, 감염 질환 및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이 있는 많은 생물학적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다.

이전의 연구들은 비타민 D 결핍이 위에 언급한 질환이 생길 위험성을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을 밝혔지만, 이번 연구는 한발 더 나아가서 비타민 D 상태 개선이 면역체계를 개선하고 많은 질병에 걸릴 위험성을 낮추는 데 큰 역할을 한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비타민 D는 인체가 음식을 통해 섭취할 수 있고 또 태양에 노출되면 인체가 합성해서 만들어낼 수도 있어서 독특하다. 인체가 비타민 D를 합성하면 간과 신장이 인체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시켜준다. 그런데 개개인의 비타민 D 수치 즉 비타민 D 상태는 혈중 25(OH)D의 수치로 결정된다. 비타민 D 결핍은 25(OH)D의 수치가 1밀리리터당 20나노그램(20ng/mL) 이하인 상태를 의미하며 구루병과 여타 근골격계 질환을 포함한 많은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 최근의 자료들은 비타민 D 결핍(20나노그램 이하)과 비타민 D 불충분(21-29나노그램)이 암, 자가면역 질환, 염증 질환, 제2형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무작위 이중맹검 단일 장소 예비 임상시험으로 8명의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는데 그들의 평균 연령은 27세로 임상시험이 개시되었을 때 비타민 D가 결핍이거나 불충분한 사람들이었다. 그들 중 3명은 2달 동안 매일 비타민 D를 400IU씩 복용했고 나머지 5명은 매일 2,000IU를 복용했다. 임상시험을 시작할 때 그들의 면역세포인 백혈구의 표본을 채취했고 2달 후 임상시험이 끝날 때 또 백혈구 표본을 채취했다. 이들 표본에 대해 광범한 유전자발현 분석이 실시되었고 22,500개가 넘는 유전자를 대상으로 비타민 D를 섭취하면 그들의 활동이 증가하는지 아니면 감소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를 했다.

예비 임상시험이 끝날 때 매일 2,000IU를 섭취한 집단은 비타민 D 상태가 34ng/mL로 충분했지만, 매일 400IU를 섭취한 집단은 비타민 D 상태가 25ng/mL로 불충분했다. 유전자 발현을 분석해본 결과는 291개의 유전자의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생긴 것으로 드러났다. 좀 더 깊이 분석해보니 291개 유전자와 관련 있는 생물학적 기능들이 (암, 자가면역 질환, 감염 질환 및 심혈관 질환과 연관되어있는) 160개 생물학적 경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비타민 D 수용체와 상호작용해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유전자 반응요소 즉 DNA 염기서열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진은 비타민 D 상태와 관련이 있는 새로운 유전자들까지 찾아냈다. 연구진들은 자신들의 관찰이 정확한지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발현의 정도가 변하지 않는 12개 유전자와 임상시험 기간 동안 안정된 상태를 유지안 유전자들을 살펴보았다.

교신저자인 마이클 홀리크 박사는 보스턴대학교 의대 교수로 비타민 D 전문가이다. 그는 이번 연구가 비타민 D가 비 골격계 건강에 미치는 이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분자지문을 밝혀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규모가 더 큰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얻은 자료들은 비타민 D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 우리의 면역세포 내의 유전자 발현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심혈관 질환, 암 및 여타 질환에 걸릴 위험을 줄이는데 비타민 D가 수행하는 역할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그는 부언했다.

출처
A. Hossein-Nezhad et al., "Influence of Vitamin D Status and Vitamin D3 Supplementation on Genome Wide Expression of White Blood Cells: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PLoS One. 2013;8(3):e58725. doi: 10.1371/journal.pone.0058725.

뒤로월간암 2013년 5월호
추천 컨텐츠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