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특집기사
간섬유화, 비타민D로 치료 가능한가
장지혁기자2013년 06월 30일 18:50 분입력   총 573393명 방문
AD

간 섬유화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 칼시포트리올(합성 비타민 D)
단단한 섬유질 흉터 조직이 지나치게 축적되면 간 섬유화가 생기는데 대부분의 만성적인 간질환에서 그런 일이 발생한다. 산업화된 국가에서 간이 손상되어 섬유화가 생기는 주원인은 만성 간염 바이러스 감염과 지나친 음주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등이다.

그런데 최근에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솔크 생물학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합성한 비타민 D인 칼시포트리올이 생쥐의 간세포에서 섬유화 반응을 통제하는 스위치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발견했고 이는 인간의 섬유화 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잠재적인 요법이 될 수 있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히고 있다.

칼시포트리올은 이미 건선을 치료하는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청의 승인을 받은 약품이다. 선임 저자로 솔크 생물학 연구소의 유전자 발현 실험실의 교수 겸 햄슬리 게놈의학 센터의 수석 연구원인 로널드 에반스는 현재 간 섬유화에 효과가 있는 약품이 없기 때문에 이번 발견이 간 섬유화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으로 연구진은 믿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간이 손상된 것을 경고하는 별과 같은 모양의 간성상세포에 초점을 맞추었다. 간성상세포는 활동을 하게 되면 손상을 치유하기 위해 섬유화 단백질을 생산한다. 그러나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국소적인 섬유화가 확대되어 결국은 간경변으로 발전해서 간암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고 진행된 경우에는 간이식이 필요하게 된다.

에반스 실험실은 칼시트리올과 같은 비타민 D 관련 리간드, 즉 비타민 D가 호르몬적으로 활성화된 것이 어떤 유전자 스위치를 통해 섬유화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전임상 시험 결과는 비타민 D 브레이크가 아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연구진은 만성적인 간질환인 상황에서 임상시험을 고려해볼 때가 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에반스는 밝혔다.

간성세포 내 비타민 D 수용체, 간 섬유화를 멈추는 스위치
제1저자로 유전자 발현 실험실의 연구원인 닝딩은 이전의 연구들은 간 기능에 비타민 D가 생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밝혔지만, 우리가 간성상세포 내에 비타민 D 수용체(VDR) 수치가 높은 것을 발견한 것으로 인해 그것이 간 섬유화를 멈추는 스위치일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 유전자 발현 실험실의 선임 과학자로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마이클 다우니즈는 간질환의 증상만 치료하는 현재의 치료방법으로는 간 섬유화가 진행하는 것을 막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현재로는 일부 사람들에게서 완치할 수 없는 간질환이 간경변으로 진행하는 것은 막을 수가 없는데, 이번 연구에서 비타민 D 수용체가 게놈에 작용을 해서 다수의 섬유화 활성화체를 동시에 막아줄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나서 이는 많은 다른 섬유화 촉진 신호경로가 그들의 섬유화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게놈에 모이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그는 부언했다.

솔크 생물학 연구소가 간성상세포 내의 섬유화 반응에 대해 칼시포트리올이 저항하는 것을 발견한 것은 한곳으로 모이는 다수의 섬유화 활성화체를 무력화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더 안전하고 더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해준다.

솔크 생물학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비타민 D 유사체가 간 섬유화를 치료할 수 있는지를 밝혀내기 위해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들은 합성한 비타민 D 유사체가 한두 가지 이유로 천연적인 비타민 D보다 더 낫다고 주장한다.
첫째로는 한두 가지 식품 속에 소량 존재하고 또 햇볕을 쬐면 인체 내에서 생산되는 천연 비타민 D는 신속하게 변질이 되지만 합성 비타민 D는 그렇지가 않다. 둘째로는 천연 비타민 D는 지나치게 많으면 고칼슘혈증을 유발해서 메스꺼움과 구토, 빈뇨, 근육약화 및 관절통을 유발할 수 있다. 그 반면에 합성 비타민 D 유사체는 혈액에 칼슘을 추가하지 않으면서 강력한 반응을 유도한다.

연구진은 간 섬유화를 치료하는 이 새로운 모델이 폐, 신장, 췌장의 섬유화를 포함한 다른 질병을 치료하는데도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는 견해도 밝혔다.

출처: N. Ding et al., "A Vitamin D Receptor/SMAD Genomic Circuit Gates Hepatic Fibrotic Response" Cell 153(3) pp. 601 – 613

뒤로월간암 2013년 6월호
추천 컨텐츠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