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세이] 미역국 먹는 날
글: 김 철 우(수필가) 오늘도 미역국 한 그릇을 맛있게 비워냈다. 사발에 안다미로 퍼준 미역국을 받아 들자 증진 효과라도 있는 듯 식욕이 일었다. 오랜 시...
-
가자미식해(食醢) 유감(遺憾)
글: 김 철 우(수필가) 남도의 사찰을 돌아보는 여행을 하고 있다. 때로는 절집에 들러 하룻밤 머물기도 하고, 한나절 절집 마당을 서성이다가 돌아서기도 한다...
-
[에세이] 오래된 집
글: 김철우(수필가) 상도동의 그 골목길 끝에는 아직도 가로등이 서 있다. 골목 입구의 구멍가게는 이제 ‘나들가게’라는 그럴듯한 간판으로 단장했고, 맞은편에...
-
[에세이] 지키지 못한 약속
글: 김철우(수필가) 며칠 전 집 근처에서 열 발자국쯤 앞에서 길을 걷는 할머니의 뒷모습이 시선을 잡는다. 풍성하지만 온통 하얗게 센 머리에, 약간 굽은 등...
-
[에세이] 사유(思惟)를 만나다
글: 김철우(수필가) 가벼운 옷을 골랐다. 늘 들고 다니던 가방을 놓고, 가장 편한 신발을 신었다. 지난밤의 떨림과는 무색하게 준비는 간단했다. 현관문을...
-
[에세이] 고정희 시인 생가(生家)에서
글: 김철우(수필가) 오롯이 그녀를 만나기 위해 나선 길은 아니었다. 남도사찰기행의 하나로 해남 지역의 사찰 몇 곳을 둘러보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군청에...
-
다산초당(茶山草堂)을 오르며
글: 김철우(수필가) 300m. 다산초당 입구에서부터 다산초당까지 지도상의 거리는 300m였다. 평지라면 3분 남짓한 거리. 경사를 짐작할 수 있는 ...
-
[에세이] 손으로 말해 주세요
글: 김 철 우 철판으로 만든 틀에 밀가루 반죽을 부어 굽는 풀빵은 찬 바람에 옷깃을 올리는 겨울의 초입이면 어김없이 입맛을 당긴다. 쫀득한 밀가루 반죽 속...
-
[에세이] 경호
글: 김 철 우(수필가) 아무리 노력해봐도 성(姓)은 기억나지 않았다. ‘경호’라는 이름만 기억날 뿐이었다. 그런데 비틀거리는 내 기억 속에서도 또렷하게 기...
-
[에세이] - 골목길
글: 김철우 오래전 내가 살던 상도동의 집 앞에는 골목길이 있었다. 폭은 오 미터쯤 되고 길이는 백 미터쯤 되는 이 골목길은 집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