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
-> 현대의학
항암제 벡사로텐 알츠하이머병 효과 있나
장지혁기자2013년 07월 31일 15:26 분입력   총 544133명 방문
AD

2012년 발표 알츠하이머 관련 벡사로텐 논문, 실제 재현 불가
동물실험에서 어떤 항암제가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데 성과가 있다고 대대적으로 알려진 연구가 4개의 각각 다른 연구진들이 재현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플로리다대학의 신경과학 교수인 데이빗 보첼트는 우리는 그 연구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해보기 위해 그 연구를 재현해보려고 했지만 재현할 수가 없었다고 밝혔다.

미국의 학술잡지인 사이언스를 통해 2012년에 발표된 널리 알려진 그 논문은 벡사로텐으로 치료받은 생쥐가 빠르게 머리가 좋아졌고 뇌에 있는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플라크가 몇 시간 안에 사라지기 시작한 것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항암제인 벡사로텐이 단백질의 일종인 ApoE의 수치를 높여서 알츠하이머병의 핵심적인 특징인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뇌에 축적된 것을 제거하는 것을 도와주어 그런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했다.

논문의 제1 저자로 오하이오의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대학 의대 신경과학과 교수인 개리 랜드레트는 2012년 2월 논문이 발표되었을 때 AFP 기자에게 우리는 충격을 받았고 놀랐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일은 이전에는 일어난 적이 없다고 부언했다.

그러나 과학의 핵심적인 일부는 어떤 연구이든지간에 그 연구결과를 재현할 수가 있어야 하는 것인데, 국제적인 연구가들이 4개의 각각 다른 논문을 통해 그들이 연구결과를 재현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3개의 연구진은 실험실의 생쥐를 벡사로텐으로 치료를 해보았지만 플라크의 수치에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4번째 연구진은 생쥐의 지능이 개선되는 것을 관찰했다고 밝혔지만 논문의 공저자로 피츠버그대학 공중보건대학원의 부교수인 일리야 레프테로프는 그런 일이 처음에 보고한 메커니즘에 의해 일어났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벡사로텐 플라크 감소 효과 재현 못해, 알츠하이머 치료 중단해야
우리는 생쥐들이 상실한 인식능력을 신속하게 회복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고 뇌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간질액 속에 있는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지만, 벡사로텐이 뇌의 플라크를 제거하는 증거는 어떤 것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런 연구결과들은 의사들이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기 위해 벡사로텐을 허가사항 이외의 치료제로 처방을 하지 않도록 경고하는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항암제 벡사로텐은 타그레틴이라고도 불리는데 1999년에 피부암의 일종인 무반응 피부 T세포성 림프종을 치료하는 치료제로 FDA의 승인을 받았다.

노드웨스턴대학 페인버그 의대의 세포 및 분자 생물학 교수인 로버트 배사는 우리는 의사들이 부작용이 심한 암 치료제인 벡사로텐으로 알츠하이머 환자들을 치료하고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고 밝혔다. 그런 일은 3개의 개별적인 연구진이 벡사로텐의 플라크 감소 효과를 재현하지 못한 점을 고려하면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출처:
(1) P. E. Cramer et al., "ApoE-directed therapeutics rapidly clear β-amyloid and reverse deficits in AD mouse models" Science. 2012 Mar 23;335(6075):1503-6. doi: 10.1126/science.1217697.

(2) A. R. Price "Comment on 'ApoE-directed therapeutics rapidly clear β-amyloid and reverse deficits in AD mouse models'" Science. 2013 May 24;340(6135):924-d. doi: 10.1126/science.1234089.

(3) I. Tesseur et al., "Comment on "ApoE-directed therapeutics rapidly clear β-amyloid and reverse deficits in AD mouse models""Science. 2013 May 24;340(6135):924-e. doi: 10.1126/science.1233937.

뒤로월간암 2013년 7월호
추천 컨텐츠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