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건강일반도서안내 - 암환자를 위한 매일 차릴 수 있는 밥상임정예(krish@naver.com)기자2014년 02월 28일 21:37 분입력 총 361558명 방문
-
지은이 임현숙
펴낸곳 맥스에듀
정 가 16,000 원◆책 소개
암 환자를 위한 요리책은 많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요리는 가끔 먹는 요리일 뿐 많은 일을 감당해야만 하는 암환자의 보호자가 매일같이 반복적으로 요리를 할 수는 없다. 암 환자에게는 요리책보다는 매일 먹어야만 하는 반찬이 절실히 필요하다. 채식과 자연식만을 고집하지 않고 평상시 먹고 있는 음식을 조금 싱겁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음식 만드는 것이 조금 서툴더라도 쉽고 빠르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차릴 수 있도록 한 일반 가정식을 제공한다.매번 밋밋한 밥상이 아닌 보기에도 푸짐해 보이는 밥상으로 항암 치료시의 입맛이 없는 환자의 식욕을 자극시킬 수 있는 밥상도 있으며, 음식을 만드는 방법에 앞서 음식 재료를 준비하는 것부터 간식 및 꾸준히 마신 수 있는 여러 가지 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또한 암 말기 진단 후부터 암 수치 정상이 되기까지의 100일간의 일지와 함께 진단서 및 CT촬영 자료 등 실제 변화된 전후 자료를 제공하여 실제 암 치료 사례를 근거로 암 예방 및 치유에 도움이 되는 음식과 조리법을 소개한다
◆책 속으로
♣ 제일 중요한 것은 무염식이 아닌 저염식을 하세요.
갑자기 식이요법을 한다고 환자에게 간도 없는 맛없는 완전한 무염식을 하지 마세요. 소금의 양은 적으면 적을수록 좋답니다. 그러나 평소보다 서서히 조금씩 줄여나가세요. 본문에 소금대용으로 쓸 수 있는 것이 어떤 것이 있는지 적어놨답니다.♣ 환자의 가족들도 환자와 똑같은 것을 드세요.
환자식을 별도로 준비하지 마세요. 환자와 같은 반찬을 먹어야 좀 더 먹을만하게 맛있게 연구를 하게 된답니다. 가족들은 짭짤하게 가지각색을 다양하게 먹는데 입맛도 없는 환자에게 맛도 없는 저염식 무염식을 주고 먹으라 하면 환자가 매우 힘들겠지요? 같이 고생하고 함께 한다는 걸 보여주면 환자가 이겨나가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식사가 지루하지 않게
기본 반찬 + 단백질 보충을 위한 반찬을 적어도 한 가지씩. 환자는 살이 빠지면 안 됩니다. 특히 항암치료 중이라면 더더욱 살을 찌우세요. 환자와 노인과 어린아이는 음식을 한번 권하면 한번 먹게 되고 열 번을 권하면 열 번을 먹게 되겠지요. 식간을 이용해서 사이사이에 연속 과일이나 채소 녹즙과 따끈한 다양한 차를 준비해서 드리세요.♣ 하루에 세 번 식사 후 바로 꼭 몸무게를 재세요.
전보다 빠졌다면 식간에 주전부리나 간식을 더 권하세요. 몸무게가 조금이라도 올라갔다면 크게 기뻐해주세요. 나을 수 있다는 희망을 환자의 말에 자꾸 심어주세요.뒤로월간암 2014년 1월호
- 암을 치료하는 현대적인 방법 5가지
과거에 비해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많아졌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수술이나 항암치료 그리고 방사선치료가 전부라고 생각되던 시절이 있었지만, 의학이 발전하면서 치료 방법 또한 다양해졌습니다. 최근 우리나라도 중입자 치료기가 들어오면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하나 더 추가되었습니다. 중입자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일본이나 독일 등 중입자 치료기가 있는 나라에 가서 힘들게 치료받았지만 얼마 전 국내 도입 후 전립선암 환자를 시작으로 중입자 치료기가 가동되었습니다. 치료 범위가 한정되어 모든 암 환자가 중입자 치료를 받을 수는 없지만 치료...
- 깨끗한 혈액 만들기 위해 생각할 것, 6가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음식을 먹는다 현대인의 생활을 고려해 볼 때 육체노동자가 아니라면 세끼를 모두 챙겨 먹는 자체가 과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인류가 살아온 300만 년 중 299만 9950년이 공복과 기아의 역사였는데 현대 들어서 아침, 점심, 저녁을 습관적으로 음식을 섭취한다. 게다가 밤늦은 시간까지 음식을 먹거나, 아침에 식욕이 없는데도 ‘아침을 먹어야 하루가 활기차다’라는 이야기에 사로잡혀 억지로 먹는 경우가 많다. 식욕이 없다는 느낌은 본능이 보내는 신호다. 즉 먹어도 소화할 힘이 없다거나 더 이상 먹으면 혈액 안에 잉여물...
- [에세이] 사유(思惟)를 만나다
글: 김철우(수필가) 가벼운 옷을 골랐다. 늘 들고 다니던 가방을 놓고, 가장 편한 신발을 신었다. 지난밤의 떨림과는 무색하게 준비는 간단했다. 현관문을 나서려니 다시 가벼운 긴장감이 몰려왔다. 얼마나 보고 싶었던 전시였던가. 연극 무대의 첫 막이 열리기 전. 그 특유의 무대 냄새를 맡았을 때의 긴장감 같은 것이었다. 두 금동 미륵 반가사유상을 만나러 가는 길은 그렇게 시작됐다. 두 반가사유상을 알게 된 것은 몇 해 전이었다. 잡지의 발행인으로 독자에게 선보일 좋은 콘텐츠를 고민하던 중 우리 문화재를 하나씩 소개하고자...
- 나를 위로하는 방법, 한 가지
우리 주위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하루를 열심히 살아갑니다. 그러나 범죄를 저질러 교도소에서 지내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밝혀지지 않았을 뿐 죄를 저지른 채 살아가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에서는 전체 인구의 3% 정도가 범죄를 저지르며 교도소를 간다고 합니다. 즉 100명 중에 3명 정도가 나쁜 짓을 계속하면서 97명에게 크게 작게 피해를 입힌다는 것입니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시냇물을 흐린다는 옛말이 그저 허투루 생기지는 않은 듯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열심히 살아갑니다. 그렇다고 97%의 사람들이 모두 착한...

- 월간암 - 정기구독신청
1년 5만원 정기구독료를 납부하시면 매월 집에서 편하게 월간암을 접할 수 있습니다. - 고려인삼공사 - 문의전화: 02-862-3992
시베리아 자작나무에서 채취 관리, 러시아 정부가 인증한 고려인삼공사 최상급 차가버섯 추출분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