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
-> 현대의학
흑색종과 유방암에 대한 새로운 복합 면역 요법
구효정(cancerline@daum.net)기자2025년 03월 31일 12:52 분입력   총 260명 방문
AD
마리아 시빌리아가 이끄는 비엔나 의대의 연구팀은 암에 대한 새로운 복합 치료법을 연구했다. 이 치료법은 조직 호르몬 인터페론-I의 전신 투여와 이미퀴모드의 국소 적용을 결합한다. 이 조합은 흑색종 및 유방암 모델과 같이 국소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종양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였다. 이 치료법은 치료 부위에서 종양 세포를 죽이고 동시에 전이와 싸우기 위해 적응 면역 체계를 활성화했다. 최고의 저널 중 하나인 네이처 캔서(Nature Cancer)에 발표된 결과는 흑색종 및 유방암과 같은 표재성 종양의 치료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최근 몇 년 동안 면역 요법은 광범위한 암의 치료 및 치유에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게는 이러한 제제가 여전히 충분히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전임상 연구의 하나로 비엔나 의과대학 암 연구 센터장인 마리아 시빌리아는 조직 호르몬 인터페론(IFN)-I의 전신 투여와 국소 이미퀴모드 요법으로 구성된 복합 면역 요법의 효과를 조사했다. 이미퀴모드는 선천 수용체 TLR7/8을 활성화하는 활성 물질이며 기저 세포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연구자들은 흑색종과 유방암의 다양한 전임상 마우스 종양 모델을 사용했다. 두 종양의 공통점은 국소 요법에 접근할 수 있으며 종종 원격 전이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국소종양 및 원격전이에 효과적
면역 요법은 신체의 자체 면역 체계를 사용하여 암세포와 싸운다. TLR7/8을 통해 이미퀴모드에 의해 활성화되는 형질세포와 수지상 세포(pDC)는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경구 이미퀴모드가 pDC를 자극하여 조직 호르몬인 IFN-I를 생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종양 환경의 다른 수지상 세포와 대식세포를 국소 이미퀴모드 요법에 민감하게 만들어 사이토카인 IL12를 통해 새로운 혈관 형성을 억제하여 종양 세포를 소멸했다. 이 복합 면역 요법은 치료된 종양뿐만 아니라 원격 전이에도 효과가 있었다. 새로운 전이 형성을 줄여 종양 재발을 예방하고 흑색종의 체크포인트 억제제에 대한 민감성을 높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퀴모드 또는 IFN-I를 이용한 전신 치료와 이미퀴모드를 이용한 국소 치료를 결합하면 환자의 치료 옵션을 확대하고 흑색종이나 유방암과 같은 국소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종양에서 치료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줍니다."라고 마리아 시빌리아는 강조한다.

"이러한 전신 IFN-I를 이용한 병용 치료가 치료 부위에서 효과적이고 원격 전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미퀴모드를 이용한 원발 종양의 국소 치료가 필수적입니다."라고 연구의 첫 번째 저자 중 한 명인 MedUni Vienna의 필립 노보젤이 덧붙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치료 전략은 흑색종 및 유방암과 같이 표재적이고 국소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종양의 치료 결과를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는 국소적으로 치료된 종양에서 치료와 관련된 암세포 사멸을 통해, 다른 한편으로는 원격 전이에서 T 세포에 의한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체크포인트 억제제에 의해 더욱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저희의 목표는 아직 이러한 약물에 잘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장기적인 전망을 개선하기 위해 면역 치료 전략을 계속 개발하는 것입니다." MedUni Vienna의 종합 암 센터와 Vienna University Hospital의 부소장이기도 한 마리아 시빌리아(Maria Sibilia)의 말이다.

"전신 인터페론은 잘 알려진 암 치료법이고 수지상 세포는 우리의 전임상 모델과 비슷한 방식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우리는 이 새로운 병용 치료법이 환자에게 효과를 보일 수 있다고 믿습니다." MedUni Vienna의 피부과 종양학자이자 이 연구의 공동 제1 저자인 마르티나 산로렌조가 마지막으로 덧붙여 말했다.

참조:
Sanlorenzo, M., Novoszel, P., Vujic, I. et al. Systemic IFN-I combined with topical TLR7/8 agonists promotes distant tumor suppression by c-Jun-dependent IL-12 expression in dendritic cells. Nat Cancer, 2025 DOI: 10.1038/s43018-024-00889-9
뒤로월간암 2025년 2월호
추천 컨텐츠 AD